‘눈코 뜰 새 없다’니…얼마나 바쁘면 말도 부실하다
수정 2024-06-06 18:44 등록 2024-06-06 14:30
바쁘면, 돌아보고 둘러보고 넓게 보고 멀리 볼 수 없다.
그저 여기저기에 매달려 살 뿐. 요즘 내가 딱 그 짝이다.
여유 있게 굽은 골목길로 발을 들여놓지도,
유리창에 비치는 모습을 처량하게 쳐다보지도, 사람을 정성껏 대하지도 못한다.
할 일의 가짓수는 늘어 가는데, 머리는 더디고 손은 느리고 몸은 굼뜨다.
바쁘다 보니, 만나자는 연락에 ‘눈코 뜰 새 없다’며 거절하기 일쑤.
이 표현과 같은 뜻의 ‘안비막개’(眼鼻莫開, 눈과 코를 뜰 수 없다)라는 한자어도 있는 걸 보면,
옛사람들에게도 꽤 인기가 있었던 모양이다.
얼마나 바쁘면, 말도 부실하다.
국수에는 젓가락이, 팥죽에는 숟가락이 함께 있어야 하듯이,
말도 목적어가 나오면 그에 맞춤한 서술어가 와야 한다. ‘입을 열다’ ‘귀를 파다’처럼.
그런데 ‘눈코 뜰 새’는 서술어 하나가 빠졌다.
눈은 뜰 수 있지만, 코는 어떻게 해도 ‘뜰’ 수가 없다.
그냥 ‘냅둬도’ 얼굴 한가운데 얌전히 달려 있으면서 자동으로 숨이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게 코다.
우리가 코한테 할 수 있는 행동이라야 벌름거리거나 킁킁거리거나 파거나 푸는 정도(코를 세우는 건 돈이 든다).
문법에 엄격한 사람이라면, 저 표현은 호응이 되지 않으니 ‘눈을 뜨고 코로 숨 쉴 새도 없다’로 고치라고 할지 모른다.
그러면 리듬감도 사라지고 재미도 없다(코로 숨 쉬는 걸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담?).
그렇게 구구절절 ‘맞는 말’만 하는 사람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사람이 아니다.
없어야 재미있는 게 있다. 없으면 상상하게 된다(코를 뜰 수 있는 방법은 뭘까?).
허술하고 부실한 것이 생명력이 있다.
굽은 나무가 잘리지 않는다는 말을 여기에도 쓸 수 있으려나.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연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입니다 [말글살이] (0) | 2024.08.03 |
---|---|
근시와 원시 [말글살이] (0) | 2024.07.29 |
거짓말의 추억 [말글살이] (0) | 2024.05.04 |
‘기타’를 업신여기지 말라 [말글살이] (1) | 2024.04.05 |
여성 공천 할당제를 생각한다 (1)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