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야기

“~다”의 감옥

닭털주 2023. 4. 2. 08:59

“~의 감옥

 

게티이미지뱅크

 

[크리틱] 정영목 | 번역가·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는 내가 가장 많이 쓰는 글자는 아니라도, 입으로 말한 횟수 대비 글로 적은 횟수의 비율은 아마 가장 높을 듯하다.

방금도 라고 쓰고 마침표를 찍었고 또 지금 그걸 반복하고 있.”

우리 글의 종결어미이니 어쩔 수 없겠지만 오래 쓰다 보니 전에 없던 쇠창살이 어렴풋이 보이는 듯도 하다.

, 이곳은 그동안 쓴 가 쌓여 만들어진 감옥인가?

 

아닌 게 아니라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박유하 역)에서 이런 종결어미(그쪽도 “~이다)를 사용하는 방식을 우리를 가두고 있는 것이자, “확립되자마자 그 기원이 망각되는 장치라고 부른다.

그러니까 이 “~체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게, 어쩔 수 없는 게 아니란 뜻인가?

그렇다.

우리에겐 오랜 세월 한문이 있지 않았나.

권보드래는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에서 “~체는 1910년대 말 소설에서 자리를 잡고 십여년 후 일반적 문체가 되었다고 말한다.

권보드래가 전하는 당시 김동인 이야기에 따르면

그가 “~체를 쓴 것은 구어체를 쓰려는 시도였다고 하는데,

사실 “~가 우리말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았다고 하니 문어를 구어에 일치시킨다는 관점에서 보면 뭔가 어긋난다.

오히려 김동인이 초기에 모든 작품을 일본어로 구상한 뒤 우리말로 쓰려다 막힌 부분에서 일본어 언문일치의 핵심인 “~의 도입 경로를 상상하는 게 더 그럴듯해 보인다.

김동인이 시도한 “~는 처음에는 아마 일본어 번역투의 느낌이 났을 듯하다.

가라타니의 말에 따르면

일본어의 경우 “~의 기원이 19세기 말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투르게네프 번역이라니, 양쪽 모두에서 “~체의 출발은 생경한(또는 참신한) 번역투였던 셈이다.

자연스러운 입말과 어긋난다는 번역투가 언문일치의 말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권보드래의 말에 따르면,

언문일치의 핵심이 무엇보다 문장 언어의 공통된 규범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구어도 닮지 않은 인공의 언어“~도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물론 장점이 있었다.

“~는 자주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쉽게 하대하는 말투 느낌을 털어내고

무색투명한 문체”,

자기 자신을 향한 독백을 만인 앞에서 읊조리는 언문일치의 문체가 될 수 있었다.

가라타니라면 “~체가 근대인의 내면을 표현하여 새로운 언=문을 확립하고 기원을 지웠다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체가 자리를 잡으면서 과거 종결어미만으로 주어가 짐작되었던 때와는 달리 주어를 밝힐 필요가 자주 생겨, //그녀 등 대명사에 무게가 실리고 또 “~ㅆ다라는 과거형이 도입되면서(이 또한 인공의 언어라니!) 시간을 현실적으로 다루는 방식이 자리 잡게 되는 과정은 우리말이나 일본어나 비슷하다(당연한가?).

즉 투르게네프식 리얼리즘 소설에서처럼

삼인칭 객관묘사를 할 수 있는, 그림에 빗대 말하자면 관찰자의 시점에서 원근법으로 대상을 실물처럼 표현할 수 있는 언어가 생겨난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인공의 언어라지만 우리에게는 “~와 입말의 간격이 너무 큰 느낌이다.

그래서 이희재는 <번역의 탄생>에서

이런 거북함을 언급하며 다른 방식의 언문일치체를 모색하는 과제를 말한다.

이 문제 말고도 삼인칭 객관묘사에 적합한 “~중심 문체가

현재 얼마나 유효한가 하는 큰 문제가 있다.

실제로 “~가 감옥이라고 느끼는 번역자는 후타바테이의 고민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다만 후타바테이가 사실주의 원근법 그림 앞에서 고민했다면 지금은 예컨대 입체파 그림 앞에서 고민할 뿐이다. 자신의 언이 문과 사이가 틀어졌다고 판단하는 예민한 작가들도 이미 새로운 언문일치를 일상적으로 시도하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