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읽다

돈은 얼마나 중요할까

닭털주 2023. 1. 31. 21:42

돈은 얼마나 중요할까

입력 : 2023.01.31 03:00 수정 : 2023.01.31. 03:05 황세원 일in연구소 대표

 

 

돈은 얼마나 중요한가? 직업 또는 직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월급이 얼마나 중요하냐는 질문이다. 당연히, 단연코, 최고로 중요하지 뭘 묻느냐고 대부분은 답할 것이다.

여기에 반대할 생각은 없다. 다만 내 질문은 그래서 얼마나중요하냐는 것이다.

 

안정성과 안전, 존중, 재미와 보람, 성장, 워라밸을 기대할 수 없는 일이어도

월급만 확실히 높으면 상관없을까?

여전히 그렇다고 할 사람들이 있겠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얼마 전 지방 공공의료원에서 연봉 36000만원을 제시하고도 의사 채용을 못한 일이 알려지자 의사들이 돈만 밝힌다는 비난이 빗발쳤다.

얼마 후 MBC가 후속 보도를 했다.

면접을 봤던 의사가 도저히 일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고 제보한 것이다.

비상식적으로 과도한 일을 맡길뿐더러 사고가 나면 개인이 책임지도록 하는 조건이었단다. ‘돈만 밝혀서가 아니라 돈만 밝힐 수 없어서기피된 일자리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업 등 제조업 현장에서도 사람을 못 구한다고 난리다. “취업 즉시 1000만원을 내걸어도 채용이 안 된다는 보도도 있었다.

이런 기사들 대부분은 전문가의 입을 빌려 52시간제 완화를 주장한다.

장시간 근로를 통해서 돈을 더 벌게 해줘야 구인난이 해소된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돈이 그렇게 중요한가? 돈 말고 다른 조건이 문제라는 생각은 도저히 할 수 없는가?

 

2년 전, 20대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방식의 조사인 랩 실험을 했다.

먼저 가상의 구인광고 속 다양한 근로조건들을 읽어본 뒤에 가장 마음에 드는 조건을 고르도록 했다. 이렇게 고른 조건을 높은 연봉이라는 조건과 비교한 뒤 둘 중 하나를 고르는 기회를 줬더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연봉이 아닌 쪽을 택했다.

가장 많이 선택된 조건은 자신의 일하는 방식과 시간, 장소를 스스로 정할 권한,

통제권이었다.

발전 가능성, 윤리적인 문화, 직장의 위치 등을 중요하게 선택한 사람들도 있었다.

 

연봉을 택한 사람들도 돈 자체를 중시하는 게 아니었다.

한국사회에서 임금 높은 일자리는 다른 모든 조건에서도 뛰어난 경우가 많다.

사회적 인정 수준도 높다. 이 때문에 일단은 거기서 일할 만한 사람이라는 인정을 획득하고 나서”, 또는 몇 년 바짝 돈을 벌어 놓고 나서진짜 원하는 일자리로 이직하겠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예외적인 상황은 있다. 몇몇 응답자들은 부양 가족이 있다면 다를 수 있다고 했다.

지금 구인난을 겪는 일자리들을 지금껏 지탱해 온 사람들이 바로 이런 경우일 것이다.

근면성실한 가장들의 희생과 노고는 높이 평가되어야 하나, 이를 당연시해서는 안 된다.

이들도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할 권리가 있었다.

일하다 다치거나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보호해주는 조직과 제도하에서 안심하고 일할 권리도 있었다.

 

기성세대가 일해온 것을 지켜보면서 다르게 살기로 마음먹은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증거가 바로 저 구인난현상이다. 기록적으로 낮은 출생률의 일정 부분도 이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다.

그래서 다시 묻고 싶은 것이다. ‘52시간 노동제가 문제라는 이들에게 말이다.

돈이 그렇게 중요한가? 아니, 돈만 그렇게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