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읽다

이어령의 ‘깊은 우물’

닭털주 2022. 3. 2. 18:40

이어령의 깊은 우물

도재기 논설위원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장관. 경향신문 자료사진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1934~2022)100권이 훌쩍 넘는 책, 헤아리기 힘들 만큼 많은 칼럼·평론을 남겼다.

평소 책 읽는 게, 글 쓰는 게, 생각하는 게 좋다. 즐겁다던 말 그대로다.

뒷사람들이 갈증을 풀 수 있는 그런 깊은 우물 하나 파고 싶다

고인다운 결과이기도 하다.

시대의 지성으로 불리던 그의 책과 글은 이제 우물 속 단물로 남았다.

그가 판 우물은 깊고도 넓다.

스물셋 청년 이어령은 우상의 파괴로 문단을 넘어 지식인의 정신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번쩍 일깨웠다. 지금도 지식인들에게 유효한 빛이자 소금이다.

경향신문 연재 글을 모은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는 한국인·한국 문화를 제대로 발굴해낸 한국 문화론의 토대다.

일본인들을 놀라게 한 <축소지향의 일본인>도 있다.

그의 지적 탐험은 문학비평에서 한국 문화론, 동서양 문명론,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공존, 정보화시대를 넘어 인공지능(AI)과 생명화시대로 이어진다.

<가위바위보 문명론> <보자기 인문학> <디지로그> <생명이 자본이다> 등을 통해

동아시아·현대 문명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도 찾는다.

그의 통찰은 지성과 영성, 생과 죽음이 등을 마주 댄 부조리한 삶으로도 확장됐다.

융합·통섭 인문주의자로서의 긴 여정 끝에 이야기꾼’ ‘21세기 패관(稗官)’으로 자처한 그는 마지막까지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를 쓰는 중이었다.

이어령이 깊이 파낸 우물에는,

집필할 때면 제단에 오르는 경건한 마음으로 옷깃을 여미었다는 칼럼 여적(餘滴)’도 있다. 경향신문이 창간한 때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이 칼럼에 그는 깊은 족적을 남겼다.

군사정부 시절 고초를 당하기도했지만

여적을 쓰던 그 기간이 내 생애 가장 화려하고 보람 있던 황금기라고 회고한 바도 있다.

 

이어령 전 장관의 영결식이 2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으로 엄수된다.

전문가는 많지만 시대와 세상, 삶을 밝은 눈으로 통찰하는 어른이 없는 시대다.

이렇게 또 한 어른이 가신다.

그의 통찰력과 지혜가 몹시 그리울 것이다.

그의 말을 더 듣고 지혜를 구했어야 하는데 아쉽다.

새로운 문명을 일궈내야 할 전환의 시대여서 더욱 그렇다.

 

 

이어령영결식경향신문여적지식인문화체육관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