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칼럼

‘얻어맞다’에 얻어터진 진부함 [말글살이]

닭털주 2024. 8. 11. 09:50

얻어맞다에 얻어터진 진부함 [말글살이]

수정 2024-08-08 18:38 등록 2024-08-08 14:30

 

말글살이

 

 

 

7(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 태권도경기장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태권도 남자 58kg급 결승전에서 한국 박태준이 아제르바이잔의 가심 마고메도프와 경기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리한 장마 끝에 서풍에 몰려가는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한용운의 시 알 수 없어요’).

인간이 가끔 빛나는 순간이 있다.

알 수 없음의 영역이 있음을 아는 순간이지(무지의 지).

모든 것을 안다는 오만함보다는 모르는 게 있음을 인정하는 겸손함이 인간다움에 가깝다.

말에도 왜 이런 말이 만들어졌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얻어맞다’.

 

무엇을 얻었다고 하면 값을 치르지 않고 받는 것이니 사다와 다르고,

되돌려주지 않아도 되니 빌리다와도 다르다.

요즘 말로 득템에 가까우려나.

다른 말과 함께 거저 받는다는 뜻으로 쓰인다.

옷을 얻어 입고 신발을 얻어 신고 차를 얻어 탄다. 밥도 얻어 먹고 술도 얻어 마시는 날이 많으면 좋으련만. 일부러 애를 쓰지 않아도 된다. ‘얻어걸리다는 어떤 일이나 물건이 우연히 생기는 것이고, ‘얻어듣다도 우연한 자리에서 어깨너머로 주워들은것이다.

 

그런데 어찌하여 얻어맞는다’ ‘얻어터진다인가.

맞는 것도 서러운데 일부러 매를 자청할 리는 없다.

뭔가를 얻게 되면 그것이 내 쪽으로 오는 것이므로,

얻어맞는 것도 매나 주먹이 나를 향해 오는 것이라 그렇게 썼으려나 하며 끼워 맞춰 보지만,

억지스럽고 신통하지가 않다.

 

단어를 어법에 맞게 쓰는 일보다 그 말을 처음 만든 사람이 더 궁금하다.

그는 얼마나 자유롭고 얼마나 엉뚱하며 얼마나 힘껏 빈둥거렸을까.

맞고 들어온 아이를 향해 불쑥 어디서 얻어맞았을꼬?’라며 깔깔 웃었을지도.

그를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이렇게 즐거운데.

이 빈틈없이 지루한 세상에 새로운 단어 하나 만들지 못하는 진부한 나에 비하면.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