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칼럼

‘눈코 뜰 새 없다’니…얼마나 바쁘면 말도 부실하다

닭털주 2024. 6. 11. 10:37

눈코 뜰 새 없다얼마나 바쁘면 말도 부실하다

수정 2024-06-06 18:44 등록 2024-06-06 14:30

 

 

바쁘면, 돌아보고 둘러보고 넓게 보고 멀리 볼 수 없다.

그저 여기저기에 매달려 살 뿐. 요즘 내가 딱 그 짝이다.

여유 있게 굽은 골목길로 발을 들여놓지도,

유리창에 비치는 모습을 처량하게 쳐다보지도, 사람을 정성껏 대하지도 못한다.

할 일의 가짓수는 늘어 가는데, 머리는 더디고 손은 느리고 몸은 굼뜨다.

 

바쁘다 보니, 만나자는 연락에 눈코 뜰 새 없다며 거절하기 일쑤.

이 표현과 같은 뜻의 안비막개’(眼鼻莫開, 눈과 코를 뜰 수 없다)라는 한자어도 있는 걸 보면,

옛사람들에게도 꽤 인기가 있었던 모양이다.

 

얼마나 바쁘면, 말도 부실하다.

국수에는 젓가락이, 팥죽에는 숟가락이 함께 있어야 하듯이,

말도 목적어가 나오면 그에 맞춤한 서술어가 와야 한다. ‘입을 열다’ ‘귀를 파다처럼.

그런데 눈코 뜰 새는 서술어 하나가 빠졌다.

눈은 뜰 수 있지만, 코는 어떻게 해도 수가 없다.

그냥 냅둬도얼굴 한가운데 얌전히 달려 있으면서 자동으로 숨이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게 코다.

우리가 코한테 할 수 있는 행동이라야 벌름거리거나 킁킁거리거나 파거나 푸는 정도(코를 세우는 건 돈이 든다).

 

문법에 엄격한 사람이라면, 저 표현은 호응이 되지 않으니 눈을 뜨고 코로 숨 쉴 새도 없다로 고치라고 할지 모른다.

그러면 리듬감도 사라지고 재미도 없다(코로 숨 쉬는 걸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담?).

그렇게 구구절절 맞는 말만 하는 사람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사람이 아니다.

 

없어야 재미있는 게 있다. 없으면 상상하게 된다(코를 뜰 수 있는 방법은 뭘까?).

허술하고 부실한 것이 생명력이 있다.

굽은 나무가 잘리지 않는다는 말을 여기에도 쓸 수 있으려나.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