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있는 공간은 나를 보여줍니다
입력 : 2023.09.14 20:32 수정 : 2023.09.14. 20:33 임지영 예술교육가
불행은 비교에서 시작된다.
남들이 “오, 강남!” 하는 서초 한복판에 살았어도 아이는 늘 가난했다.
100평 펜트하우스에 사는 친구 집에 다녀오면 더 가난해졌다.
“엄마, 우리는 언제 이사 가? 우린 왜 이렇게 가난해!” “그렇지 않다”고,
“이 정도면 감사해야 한다”고 타일러도 아이의 쪼그라든 자존감은 펴지지 않았다.
어디나 그렇겠지만 상대적 박탈과 결핍이 가장 심한 지역일 것이다.
게다가 사회적으론 상당히 부유하다고 인식되는 곳이기에 외부의 시선과 내면의 자각 사이에 너무 큰 괴리가 존재했다.
그러니 유난히 큰 혼돈 속에 괴로울 수밖에.
그것은 어른도 마찬가지다.
중심을 제대로 잡지 않으면 자존감 바닥에서 헤매게 된다.
할부로 산 명품에 알량한 자존감을 의지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마음의 취약을 물건이 채워줄 리 없다.
기죽은 아이와 나를 구원한 것은 공간이었다.
좋은 공간, 아름다운 공간, 바로 도서관과 미술관.
우아해 보이고 젠체하려고 그런 공간을 찾아간 것이 아니라, 절실한 마음으로 찾아들었다는 게 맞겠다.
도서관 책들 속에서 나를 위한 문장들을 찾아냈고,
미술관 그림들 앞에서 나의 진짜 마음을 발견해냈다.
문장도 그림도 꾸밈없이 담백했고, 그 자체로 온전했다.
“누구나 자기의 삶을 향유하는 것은 아니야. 우리 정말 특별하다! 너무 멋지지 않니?”
아이와 그런 대화도 참 많이 했다.
도서관은 책만 읽는 곳이 아니라 무너지는 정신을 고양시켜주는 곳이었다.
미술관은 그림만 보는 곳이 아니라 조급한 생의 속도를 늦춰주는 곳이었다.
다행히 아이와 나는 비교 지옥에서 벗어나 존재 자체로 씩씩해졌다.
내가 못 가진 것보다 가진 것에 집중했고 긍정했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보면 어디서도 예쁜 구석은 찾아지기 마련이다.
일상 속에서 보물을 캐내는 사람은 그 존재 또한 보석이 된다.
우리 사회는 비교 사회다.
“우리가 남이가!” 하며 아랫집 윗집 친해도, 비교 앞에는 장사 없었다.
“누구는 영재원 갔다더라”, “누구는 어디 합격했다더라”.
잘된 친구에게 진심의 축하 한마디도 쉽지 않았다.
나라의 재건을 위한 속도와 결과 중심의 사회를 살며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도 여겨진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어떤가.
빨리빨리 달려가서 당도한 곳이 산 정상이라 치자.
깃발 휘날리며 “야호!”를 외치는데 아무도 없다면, 혹은 있어도 박수 쳐주지 않는다면.
공허란 성공 뒤의 호랑이다.
맹렬하게 달려들어 마음을 갈기갈기 지독하게 만들지 모른다.
주변을 살펴야 할 때다. 지금도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고립과 외면의 문제는 우리 사회의 불안감을 고조시키며 뉴스를 켜기 두렵게 만들었다.
예전엔 ‘나만 아니면 돼!’ 느닷없는 불행에 멀리 있다 안심했는데,
이제는 예측 불가능한 사건이 바로 가까이서 일어날 수 있음에 공포스러워지기까지 한다.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본다.
사람들은 좋은 것들, 아름다운 것들은 먼 데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주 가까운 곳에 이미 다 있다.
단지 우리가 찾지 않을 뿐.
예술 교육일을 하다 보니 도서관, 미술관 참 많이 다니게 됐다.
강의를 가면 늘 처음에 하는 이야기가 있다.
나의 시간과 마음을 어디에 쓰는지 보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된다는 것.
이렇게 도서관, 미술관에 와서 무언가를 배우겠다고 눈을 빛내며 앉아 있는 여러분들, 정말 탁월한 분들이라고. 그리고 그것은 진실이다.
공간의 힘은 대단하다.
사는 일에 지치고 쪼그라들어도 좋은 공간에 들어서면 공기가 달라지고 마음이 환기된다. 아름다운 곳에 나를 두는 것은 나를 적극적으로 존중하고 사랑하는 행위다.
나는 나를 위해 가장 좋은 것들을 선택할 의무가 있다.
도서관, 미술관에 굳이 꼭 책을 읽으러, 그림을 보기 위해 가지 않아도 된다.
중요한 것은 그 공간을 누리고 있는 나 자신이므로.
내가 선택한 좋은 공간에 있는 나는 좋은 사람이라고 스스로 중심을 만들어가면 된다.
그리고 그 시간들은 고스란히 내 눈빛과 마음에 쌓인다.
도서관 미술관 예찬이 아니다.
다만 거기 있는 나의 존재를 당당하게 찬미하라는 이야기다.
그 어떤 이와도 비교 불가한 나라는 사람을 스스로 추앙하라는 이야기다.
진짜 자존감이란 용맹한 기상의 호랑이가 내 안에 있음을 아는 것이니까.
'칼럼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입기, 마음먹기, 되살기 (0) | 2023.09.15 |
---|---|
10억원으로 할 수 있는 일 (0) | 2023.09.15 |
육식의 종말? (0) | 2023.09.15 |
"8천 원에 영화 보세요" 젊은 사장님의 패기 (0) | 2023.09.10 |
인질이 된 학생, 인질이 된 교사 (1)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