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칼럼

[말글살이] 조의금 봉투

닭털주 2023. 10. 20. 09:47

[말글살이] 조의금 봉투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사람의 일 중에서 형식과 절차가 제일 엄격히 갖춰진 것이 장례이다.

특별히 줏대 있는 집안이 아니라면, 장례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빈소를 꾸미고 염습과 입관, 발인, 운구, 화장, 봉안 절차를 밟으면 된다.

문상객이 할 일도 일정하다.

단정한 옷을 입고 빈소에 국화를 올려놓거나 향을 피워 절이나 기도를 하고 상주들과 인사하고 조의금을 내고 식사한다

(술잔을 부딪치면 안 된다는 확고한 금칙과 함께).

유일한(!) 고민거리는 조의금으로 5만원을 할 건가, 10만원을 할 건가 정도?

 

장례식장마다 봉투에 부의’(賻儀)조의’(弔儀)라고 인쇄되어 있으니, 예전처럼 봉투에 더듬거리며 한자를 쓰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한 일이지만, 예전에도 한글로 부의라고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나는 급하게 가지 않는 한, 봉투를 따로 준비한다.

장례식장 이름까지 박혀 있는 봉투가 어쩐지 상업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빈 봉투에 슬픔을 함께합니다라는 식의 어쭙잖은 문구를 적는다.

글자를 쓰는 짧은 시간 동안이나마 다른 시간을 경험하는 일이겠거니 하면서

(물론 별 소용 없는 일이다. 봉투의 쓸모는 누가얼마를 표시하는 데 있으니).

 

글 쓰다 죽은 어느 망자 빈소에 즐비하게 늘어선 조화 사이로 이런 문구의 조기를 본다. 우리 슬픔이 모였습니다. 보라, 우리는 우리의 도타운 글이 있나니.”

알 수 없는 생사의 갈림길에 올려놓은 힘없는 말이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한다.

 

우리는 늘 언어 뒤를 따른다.

앞이나 옆이 아니라, 항상 뒤에 있다.

언어가 가자는 길로만 따라가고 있다는 자각이야말로 언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회다.

비록 새로운 말을 시도하자마자 그 또한 상투화의 길로 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