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4 3

서울 사는 '베이비부머', 노후엔 여기로 간답니다

서울 사는 '베이비부머', 노후엔 여기로 간답니다노후 주거 환경 뚜렷한 대안 없어... 그룹홈 등 고령 인구 위한 대안 주택 필요24.06.03 20:58l최종 업데이트 24.06.03 20:58l 이혁진(rhjeen0112)  나는 69세로 서울에 산다. 50여 년 전 서울에서 학교를 함께 다녔던 고교와 대학 동창들은 졸업 후 대략 반은 서울에 나머지 반은 지방에서 살고 있다. 서울에서 함께 공부했지만, 지금은 전국에 뿔뿔이 흩어져 있다. 이 상황은 앞으로도 크게 변할 것 같지 않다. 자주 연락하는 동창과 지인들에게 노후를 맞아 몇 가지 근원적인 질문을 던졌다. 현재 사는 집이 노후에 괜찮은지, 이사를 한다면 무엇을 먼저 고려할지, 나아가 만약 혼자되거나 몸이 아파 누구에게 의탁할 경우 이에 대한 대비..

칼럼읽다 2024.06.04

삶의 질 좌우하는 노후 주거, 지인들에 물어봤습니다

삶의 질 좌우하는 노후 주거, 지인들에 물어봤습니다"시골이 마음 편하다"는 친구, "병원 가까운 게 최고"란 지인... 당신 기준은 무엇인가요24.05.29 13:36 최종 업데이트 24.05.30 17:01l 곽규현(khkwak0813)  나는 올해 만 나이로 60이 됐다. 주된 직장에서 은퇴를 하고 자식들도 성장해서 독립하고 나니, 인생 2막을 시작하는 동시에 노후의 삶을 위해 새로운 보금자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직장에서 은퇴하기 전까지 나는 직장 출퇴근의 편리 여부, 자식들의 교육 여건, 생활상의 편의를 고려해 주거지를 결정했다. 자식들과 함께 살았던 집의 규모도 큰 편이라, 우리 부부 두 명만 따로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제는 함께 늙어 가는 배우자, 혹은 자신의 삶을 중심으로 한 주거지..

칼럼읽다 2024.06.04

버섯과 원고료

버섯과 원고료입력 : 2024.06.03 20:27 수정 : 2024.06.03. 20:32 심완선 SF평론가  막막(makmak)을 뒤집으면 캄캄(kamkam)이라는 말장난을 보았다. 관점을 바꿔도 앞이 보이지 않는다니, 어쩜 그리도 막막하고 캄캄한지…. 작가로 지내면서 나도 종종 그런 감정에 빠졌다. 마감일이 코앞인데 한 글자도 쓰지 못했을 때. 당장 닥쳐오는 일정에 허덕이느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고 느낄 때. 프리랜서로 몇년 혹은 몇십년을 버틸 수 있을지 궁금해질 때. 통계청의 예술인 실태조사를 참고하면 작가 중에서 예술활동으로 최저임금 이상의 소득을 얻는 사람은 전체의 10% 이하다. 앞날이 창창한 사람이 한국에 얼마나 많겠냐마는, 책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은 상당량의 불안과 우울을 공유하는 편이..

책이야기 2024.06.04